DB 내부에서 절차적인 관계 대수로 변환하기 전, 비절차적 질의를 관계 해석이라고 한다
* 이는 실행 결과가 반드시 참이나 거짓인 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있다
비절차적(non-procedure) -> How X What O ~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만 선언
튜플 관계 해석
튜플/범위 변수인 t를 기준으로 범위식 R(t)는 튜플 t가 가질 수 있는 릴레이션의 범위를 뜻한다
튜플 t가 나타내는 임의의 attribute A의 값은 t.A 또는 t[A]로 나타낸다
ex) STUDENT(s), s.Sno ~ STUDENT라는 릴레이션에서 튜플 s와 s의 Sno라는 attribute값
해당 관계들로 원하는 조건(=결과)을 기술하는 튜플 해석식을 표현할 수 있는데,,
더 이상 분해가 되지 않는 원자식과 원자식의 조합인 정형식이 있다
정량자의 개념🔽
정량자 : Quantifier
Quantifier (quantifier 는 한정기호, 한정사, 정량자, 양화기호 등으로 번역된다) 문장의 변수부분에 적용되어 그 변수의 적용범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정량자로서, 전체정량자 ∀와 존재정
www.aistudy.co.kr
(존재, 전칭)정량자로 한정된 변수를 속박변수, 그렇지 않은 변수를 자유변수라고 한다!
도메인 관계 해석
튜플을 가리키는 튜플 변수 t와 달리 도메인 변수는 attribute를 가리킨다 (도메인의 한 원소)
ex) STUDENT(xSno, xSname, xDept, xYear)
~STUDENT 릴레이션의 도메인 변수는 이런 식으로 선언한다
마찬가지로 참/거짓으로 판별되는 원자식과 정형식이 있는데,,
'Computer Science > Database,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FS/데이터베이스] #9 SQL 정의문 (2) | 2021.10.06 |
---|---|
[HUFS/데이터베이스] #8 QBE & SQLite (0) | 2021.09.29 |
[HUFS/데이터베이스] #6 관계 대수 (0) | 2021.09.22 |
[HUFS/데이터베이스] #5 무결성 제약 (4) | 2021.09.15 |
[HUFS/데이터베이스] #4 관계 데이터 모델 (0) | 202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