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화된 대규모 서비스의 연결IT분야 데이터 기술은 항상 버블 논란을 겪어 왔음 ~ 결국엔 성장peer to peer ~ 연결된 컴퓨터 하나하나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가 되기 시작함
서버 유지 비용 및 용량에 대한 부담 ~ 본격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하기 시작 (탈 중앙화)
CDN 등 다양한 데이터 분산 처리 소프트웨어들이 등장
그렇다면 기존 은행이나 금융 서비스들은?
보수적으로 거대한 서버를 구비하는 은행 (조 단위 예산)
카카오 뱅크 등 블록체인 기술기반 인터넷 은행들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
~ 신뢰성이나 속도 등의 논란에도 서서히 탈 중앙화가 진행되는 추세
데이터 관련 툴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정해진 답은 없다 (분산해서 용도에 맞게 씀)이더리움 등장을 기점으로 코인이라는 개념이 토큰으로 넘어가기 시작함NFT(대체 불가 토큰) ~ 블록체인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함새부적인 기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어떤 혁신적인 서비스를 만들 것인지가 중요!데이터 양에 따라 블록체인 보안/암호화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음
요즘 회사들의 인재상, 인재 역량
퍼펙트 스톰: 두가지이상의악재가동시에발생하여영향력이더욱커지는현상
1. 코로나 19
코로나의 여파로 노동에 비대면이 더해진다코로나 불황이 취업난(기업의 신규 투자X)으로 이어짐
2. 인구감소
생산인구의 감소로 소비자 감소, 기업 몰락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3. 4차산업혁명
IT 중심 산업이 발전하면서 대체되는 직업 (상당히 안정적이라고 생각되는 직업들도 있다)새롭게 등장하는 노동의 형태들: 긱 노동/플랫폼 노동/프리랜서
삶 자체는 편리해지지만 노동의 절대량은 줄어들며 새로운 형태의 노동이 생겨날 것이다!
정답이 아닌 해답의 시대
각자도생: 각자가 스스로 살 길을 유동적으로 찾아야 하는 세대정해진 루트에서 정답을 하나라도 더 맞혀야 하던 시대정해진 루트 없이 아무튼 성공하면 되는 시대한정된 자원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1한정된 자원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2팀 구성 및 소통역량아이디어 구현 능력꾸준한 실행력실질적인 판매 경험지속적인 정보 습득
본 내용은 SBA 인사이트 스쿨의 '데이터분석 Build-Up 세미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